[단독] 수십 명 근무 서울청 112상황실…팀장도 '소방' 연락받고 인지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연합뉴스TV는 이태원 참사 당시 서울경찰청 야간 상황관리관의 부실 대응을 연속해 보도해드렸는데요.<br /><br />실무 근무자인 112상황팀장도 내부 직원들이 아닌 소방청에서 연락을 받고 나서야 이태원 사고 상황을 인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한채희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'이태원 참사' 당일 서울경찰청 112치안종합상황실의 총체적 부실 대응이 속속 확인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서울경찰청장의 야간 직무대리였던 류미진 서울청 상황관리관은 자리를 지키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상황 유지 실무를 담당하는 112상황팀장 역시 외부에서 연락받고 나서야 비상 상황을 인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당시 상황팀장은 밤 11시, 경찰이 아닌 소방청으로부터 최초 연락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그로부터 15분 뒤에는 '수십 명이 심폐소생술, CPR을 받고 있다'는 사실을 역시나 소방 당국에서 전해 들었습니다.<br /><br />첫 압사 신고가 접수된 지 1시간이 흐르고 나섭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상황팀장은 상황을 인지하고 35분이 지나서야 상급자인 112상황실장에게 이 사실을 보고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상황관리관이었던 류 총경에게 전달되기까지는 40분 정도가 걸렸습니다.<br /><br />최단 시간 내 출동이 필요한 '코드 0'이 접수됐지만, 누구도 상황팀장에게 비상 보고를 하지 않았고 팀장 역시 수십 명이 CPR을 받고 있다는 구체적인 상황을 알고도 상관에게 최초 보고하기까지 20분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그러는 사이 압사 사상자는 늘어갔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7월 자치경찰제가 도입되며 지구대·파출소의 업무 관할을 넘겨받은 112상황실.<br /><br />권한과 규모는 커졌지만, 이번 참사로 112상황실의 근무 보고와 지휘 체계는 부실 그 자체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채희입니다. (1ch@yna.co.kr)<br /><br />#이태원_참사 #112치안종합상황실 #서울경찰청 #코드0 #지휘체계부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